전체 글
-
도메인NEWS 2020. 5. 17. 00:44
도메인 1.1아이피주소 -고유 식별 숫자 형태 (집 주소) Ex)네이버의 IP주소는 222.122.195.6 1.2도메인 -인터넷상에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인터넷 주소 - 사람이 인식하기 어려운 숫자형태의 아이피를 문자형태의 도메인으로 기억하여 연결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주소 체계 Ex)네이버의 도메인은 www.com *참고* .com :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나 단체 .net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 .pe.kr : 개인을 위한 도메인 .kr : 한국 대표 도메인 .go.kr : 정부기관
-
URL과 포트넘버NEWS 2020. 5. 17. 00:43
URL /Uniform Resource Locators -인터넷 상의 파일 주소 2.2URL의 구조 *참고 http : 통신규약, 통신프로토콜 http는 인터넷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규칙, 즉 통신 규약이다. 통신 규약 뒤에는 콜론(:)을 붙이고 도메인 네임이나 IP 주소를 더 써야 하는 경우에는 슬래시 두 개(//)를 덧붙인다. 이 아래 속한 웹페이지에 들어가게 되면 도메인 이름뒤에 슬래시가 더 붙게 된다. 포트(포트넘버)/ 논리적인 접속장소, 포트번호는 인터넷이나 기타 다른 네트워크의 메시지가 서버에 도착하였을 때, 전달 되어야할 특정 프로세스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해 호스트 내부적으로 프로세스가 할당받는 고유한..
-
크로스 브라우징과 벤더프리픽스NEWS 2020. 5. 17. 00:35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 : W3C에서 채택된 표준 웹 기술을 적용해 모든 브라우저에 다른 기종의 OS나 HTML 렌더링 기술로, 비슷하게 만들어 어떠한 웹브라우저 환경에서도 이상없이 작동되게 하는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쉽게 말해, 인터넷익스플로러(IE), 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의 브라우저 종류와 상관없이, 홈페이지를 이용할때 이상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것. *벤더 프리픽스(Vendor Prefix) :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에는 익스플로러,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등이 있음. 이러한 주요 웹 브라우저 공급자가 새로운 실험적인 기능을 제공할 때 이전 버전의 웹 브라우저에 그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접두..
-
웹 브라우저와 웹서버의 차이점NEWS 2020. 5. 17. 00:34
*웹 브라우저 의미 : 인터넷 연결을 위해서는 반드시 웹 브라우저를 통해야만 인터넷 접속이 가능함. 이렇게 인터넷으로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라고함. -웹 브라우저의 종류 *웹 서버 :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주된 기능 : 웹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것이고, 주로 그림, css,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함 HTML 문서가 클라이언트로 전달. 또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를 전달받는 것도 웹서버의 기능에 속한다. -웹 서버 종류 : 아파치 HTTP 서버,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 Google Web Server, Lighttpd, LightSpeed, Mongoos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