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론트엔드와 백엔드NEWS 2020. 5. 17. 00:53
<프론트엔드>
사이트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는 부분을 프론트 엔드라고 합니다.
즉, 사용자의 화면(브라우저)에 나타나는 웹 화면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에서 나아가 사용자가 사이트와 상호작용하는 모든 부분에 대한 개발, 관리, 유지 보수를 하는 것이 프론트엔드 개발자라고 할 수 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백엔드 개발자가 만든 집의 내부 설계를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세부적으로 3가지 역할로 나눌 수 있다.
· UX Designer : 사용자에게 최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사이트의 구성 및 기능 담당
· Web Deginer : UX Designer가 구성한 것을 토대로 디자인을 입히는 역할
· Front-End developer : 위의 디자인을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
<백엔드>
백엔드(Back-End) 개발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서버에서 작용하는 기술을 다루는 직군입니다. 백엔드는 UI나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 로 구성된 화면의 통신이나 요청에 대하여 DB나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시스템 구성 실체에 접근하는 것입니다. 사용자와 만나지 않고 Front-End와 연동하여 기술적인 부분을 처리합니다.
· 서버관리자 : 서버 환경설정, 서버구성 관리
· DB관리자 : DB 설계, Data 관리 및 최적화
· Back-End developer : 서버 자체를 코딩
<퍼블리셔>
*퍼블리싱: 웹 사이트를 제작할 때, 웹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것을 웹 표준성과 접근성에 부합하도록 재정리하는 것.
퍼블리셔는 앞서 설명한 퍼블리싱을 목표로 웹 디자인 작업과 코딩으로 웹 사이트를 제작하고 편집하는 일을 합니다. 퍼블리싱에 집중해서 일을 처리하는 사람을 웹 퍼블리셔라고 볼 수 있다.
*Full Stack Developer
프론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 간에는 흑백 구분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종종 추가 백엔드 기술을 습득해야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개발자는 여러 분야를 넘나들어야 할 때가 많아 종종 제너럴리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풀스택 개발자라는 호칭은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에서 교차적으로 작업 할 수 있는 역할을 지칭하는 것. 말 그대로 풀패키지(full package)를 제공하는 개발자라는 뜻입니다.
<예시>
예를 들어 '회원 가입' 페이지를 만든다고 가정하면?.
- 웹 디자이너: 회원가입 페이지 디자인.
- 웹 퍼블리셔: 디자인 넘어온 것 자르고 분해해서 HTML 코드로 코딩. 물론 CSS도 함께 사용. 한마디로 psd를 HTML로 코팅한다고 봐도 된다.
- 프론트 앤드 개발자: 아이디가 숫자로 시작되지 않게 체크, 패스워드 두 개 동일하게 썼는지 체크, 주소 창 기능 만들기, 전화번호 입력에 숫자만 들어가게 하기, 유효한 이메일 체크, 빈 칸 없이 다 썼는지 체크 등 모듈 만들고, 때에 따라 적당한 팝업이나 메시지 뿌리고 등등 '작동하는 기능들' 제작.
- 백앤드 개발자: 뒷단에서 다시 한 번 데이터 체크. 아이디 중복 모듈 제작 등 DB 입출력. 회원가입을 할 때 저장되는 개인정보, 그리고 로그인을 할 때마다 각 계정의 정보가 불러와지는 과정 역시 백엔드 개발자 덕분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ntawesome 아이콘리스트 & CDNjs (0) 2020.05.20 스토리보드와 와이어프레임 (0) 2020.05.17 HTTP (0) 2020.05.17 자바스크립트와 제이쿼리 (0) 2020.05.17 인터넷과 웹 (0) 2020.05.17